데이비스(1983)의 공감 관련 통합 모델은 공감이 일어나는 선행 조건과 과정, 결과 를 순차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모형에서 선행조건은 공감 대상자의 생물학적 특성, 개인차, 학습 차이와 같은 성격 변인, 공감자와 대상자 간의 유사성과 같은 상황 변인 으로 구성된다. 과정은 인지적, 비인지적, 고급인지(상징적 연합, 고도화된 인지망, 역 할 놀이)이고, 개인 내적 결과는 정서적 결과(공감적 관심, 분노, 개인의 고통 등)와 비 정서적 결과(정서적 결과에, 대인 지각의 정확성, 귀인 판단은 비정서적 요인)로 나누 어진다. 대인관계적 결과는 도움 행동, 공격성, 사회적 행동을 포함한다(박성희, 2004). 이를 설득 화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입시켜 보면, 설득 화법을 수행함에 있어 설득 주체와 설득의 상..
첫째는 본능적인 공감으로 이는 빠르게 자발적으로 일어나는 것이고, 둘째는 공감적 반응으로 다른 사람의 정서적 경험을 인식하는 능력이다. 이후 스펜서(Spencer, 1870)는 본능적이거나 지적, 인지적이거나 감성적과 같이 본능을 구 52 분하는 것과는 달리 공감을 지적이면서 합리적 감정 반응으로 보았다. 이는 공감을 다른 사람과의 감정 공유가 아닌 이해, 즉 인지적인 측면에서 이해하는 삐아제 (Piaget, 1932)와 미드(Mead, 1934)의 견해와 그 맥을 같이 하는데, 이들은 공감을 일 종의 인지적 본성에서 나오는 능력으로 인식하면서 ‘다른 사람의 감정 상태를 이해하 는 능력’으로 정의하였다. 특히 삐아제는 아이들이 자라면서 탈중심화를 겪게 되는 과 정에서 자신과 다른 사람의 차이를 인식하고 ..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매체문식성 관련 내용] [6국] 발표 매체 활용 매체 자료를 활용하여 내용을 효과적으로 발표한다. [9국] 듣기 효과 판단 매체 자료의 효과를 판단하며 듣는다. 외국의 교육과정에서 ICT 역량은 핵심 역량으로 포함되어 있는데 특히 호주의 경 우 ‘정보와 의사소통기술(ICT) 능력’의 하위 요소로 ‘ICT 사용의 사회적, 윤리적 측면 적용하기, ICT로 조사하기, ICT로 창작하기, ICT로 의사소통하기, ICT를 관리하고 조 작하기’로 세분화되어 제시되어 있다. ICT활용 능력 관련해서는 1999년 미국 교육부에 서 시행한 Preparing Tommow’s Teachers to Use Technology Program(PT3) 프로젝 트를 시작으로 ICT역량에 대한 교원들의 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