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제이온(Zajonc, 1980)은 감정 반응은 인지 반응과 독립적 으로 일어날 수 있으며 때로는 느리고 상세한 인지 체계와 달리 빠르고 거친 감정체 계가 선행할 수 있다는 입장에서 감정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홀브루크와 바트 라(Holbrook & Batra, 1987)도 감성을 설득 효과의 새로운 영향 요인으로 추가하였다 (김소윤·이현우, 2007). 설득에서 태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인지적 요인과 더불어 개인의 감 정과 연계된 논의에서는 청자의 반응과 심리적인 부분에 주목한다. 밀러(Miller, 1980) 는 태도나 행동에 변화를 주기 이전에 형성되는 반응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는데, 그는 반응의 ‘과정을 반응의 형성, 반응의 강화, 반응의 변화’의 세 가지로 나누어 제 시하..
일반적인 설득 설득 화법의 교육 맥락에서의 설득 [그림 Ⅱ-1] 일반적인 설득과 설득 화법의 교육 맥락에서의 설득 일반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설득은 의도성을 지닌 설득의 주체가 언어와 매체를 사 용하여 설득의 대상에게 자신의 의견이나 주장을 일방향적으로 전달하는 것과 그로 인한 설득의 결과 즉, 청자의 믿음, 행동, 태도, 반응의 변화에 주목한다. 하지만 설득 화법 교육에서는 화자의 의도에 따라 청자가 변화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호 작용의 양상과 표현의 방식, 태도와 같은 화자와 청자 간 관계성까지를 통합적으로 면밀하게 고려해야 한다. 이런 측면에서 본고에서는 화법 교육에서의 ‘설득’을 라슨과 하우웰의 관점을 바탕 으로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자 한다. 화법 교육에서의 설득은 공동체 의사소통의 참여 ..
우리나라 문헌상에서는『화왕계』에 “그대의 우언은 진실로 깊은 뜻이 있으니 기록하여 왕의 훈계로 삼고자 한 다.”라고 우언의 용어를 직접적으로 언급하고 있다(주재우, 2007). 25 와 역설을 통한 깨달음이 있는데 이들은 이성적 방법과 정서적 방법을 아우를 수 있는 방법으로 우리의 설득 문화에 일정 부분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고 한국의 설득 화법이 이성적, 논리적 측면을 간과한 것은 아니다. 과 에 나타난 설득의 양상을 살펴보면 정서적 설득뿐 아니라 논리 적 설득의 양상도 다분히 드러남을 알 수 있다(김현주, 2015). 그럼에도 기본적으로 한 국의 설득 화법은 상대방이 화제에 대해 동참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심리적 원근 거리 를 줄이는 설득 방법을 사용하면서 본질적으로는 상대에 대한 배려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