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적 측면과 관련된 화법 연구는 2000년대부터 이루어졌는데, 이들은 상호 교섭 적 관점을 중심으로 쌍방향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청자 지향적 관점의 표현 교육(권순희, 2001), 상생화용론(최현섭, 2004), 공감적 화법(정상섭, 2006a), 상호 주관 성에 바탕을 둔 화법 교육 연구(김윤옥, 2007)와 같은 논의들이 대표적이다. 관계적 측면과 관련된 화법 연구는 주로 사적 영역의 담화 장르인 대화 교육에 초점을 두면 서 상호 교섭성을 강조하였다. 상호 교섭성은 제7차 화법 교육과정에서 ‘화법은 말하 는 이와 듣는 이가 협력적으로 의미를 창조하는 상호 교섭 행위이다(교육부, 2000).’로 제시된 이래 그 의미가 강조되었다. 상호 교섭적 관점은 거시적 틀에서 대인 의사소 통 현상을 입체..
이런 관점에서 실 제 우리의 의사소통은 화행적 측면과 관계적 측면이 각각 별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 라, 궁극적 교육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 서로 상생하면서 이루어져야 함을 살필 수 있 다. 이는 인간 심리의 복잡한 과정을 통해 자아 정체성을 확립하고 사회적 관계를 형 성하며 영향을 주고받는 데 의사소통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입장이 대두되면서(이 창덕 외, 2013a) 의사소통 능력이 사회 안에서 인간관계를 형성하는 데 중요하다는 최 근의 인식과 맥을 함께 한다. 그러나 ‘설득’이 경쟁, 논리, 이성적 접근을 통해서 잘 이루어질 수 있다는 지배적인 생각과 화행의 목적 달성을 중시하는 풍토로 인해 설득을 위해 전제되어야 할 공감과 설득이 사회 공동체에 미치는 영향력 있는 교육으로 연계되지 못했다. 상대방과..

I. 서론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이 연구는 사회 문화적으로 다양한 갈등이 혼재되어 있는 현대사회의 언어공동체에 서 서로 다른 구성원들과 원활하게 소통함에 있어 필수적 능력이라고 할 수 있는 설득 화법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실제 언어생 활에서 언중들에 의해 적극적으로 구사되어 왔지만 화행 중심의 설득 화법 교육 내에 서는 비교적 미약하게 다루어져 왔던 관계적 측면을 보완하여 공감을 기반으로 한 설 득 화법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대사회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갈등의 양상들은 개인 간, 집단 간 상호호혜적인 '관 계'의 형성이 미흡하다는 사실에서 크게 기인한다. 이에 많은 연구들은 제도적인 측면 에서의 발전을 촉구하기도 한다. 민주주의를 안정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