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시사교양

학습자 설득 담화

룩스온 2020. 9. 3. 07:00

① 학생1: 개고기가 한국 동물 학대의 상징인가요? 왜? ② 학생2: 보통 개 같은 경우는 (웃음) 개 같은 경우는..(흐흐흐흐) 개를 죽일 때에는 보통 육질 같은 것 때문에 몽둥이로 때리고 죽이거든요. TV에서 보면. ③ 학생1: 돼지나 닭이나 그런 건 위생적이라고 했는데 개는 단체에서 먹는 식용이 아니 라고 해서 무조건 비위생적으로 모는 건가요? ④ 학생2: 식용으로 키워지는 개는 케이지 안에서 막 자라요. 더럽게. 식용개는 지금까지 는 불법으로 알고 있는데요. 그게 그것 때문에 몰래 키워가지고 더러운 환경에 서 막 키우고, 막 그거 막 이상한 병에 걸리고 그런데. ⑤ 학생1: 개를 도축할 때 육질을 위해 몽둥이로 때려죽인다고 했는데, 다른 것은 안락사 시키는 겁니까? ⑥ 학생2: 네 97 ⑦ 학생1: 아니에요. 소나 돼지나 똑같아요. ⑧ 학생2: 소나 돼지는 몽둥이로 때리진 않아요. 칼로 찔러요. ⑨ 학생1: 칼로 찔러? 칼로 찌른다고? ⑩ 학생2: 돈까스 할 때 막 두들기는 것처럼, 칼로 찔러서 목을 잘라요. ⑪ 학생1: 목을 딴다고요? 우악 아, 그게 더 잔인한 것 아닙니까? 소나 돼지가? ⑫ 학생2: 그럴 수도 있겠네요. (중_G_보신탕) 에서 보면 학생 2가 개고기가 한국 동물 학대의 상징이라는 것을 주장하 기 위해 개 도축의 잔인성을 이야기하려고 했지만, 결국 그 과정에서 다른 동물에 대 한 도축이 더 잔인한 것으로 이야기가 흘러가게 되면서 학생2의 입장에 대한 관점이 흐려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입장의 혼란이 야기되는 이유는 설득할 내용이나 입장에 대한 충분한 내적 의 사소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학습자들은 특히 상대방의 질문으로 인해 입장에 대해 혼란을 겪는 경우가 많았다. 입장에 혼란이 오는 원인은 자 신의 입장을 확립함에 있어 이에 대해 다각적으로 사고하지 못하고, 기준이나 예외적인 상황에 대해 고려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카츠가 제시한 태도 결정의 심리적 기능에 의한 영향일 수도 있는데, 중학생의 경우 주변의 시선에 다소 민감할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의 입장을 정립함에 있어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2) 상대 입장을 존중하지 않는 태도 관계성을 고려한 태도 취하기는 학습자 설득 담화에서 주로 부정적인 양상으로 나 타났다. 분석 결과, 여러 양상을 무시(평가하는 발언하기, 상대방의 말 자르기), 의심 (근거에 대한 의심 드러내기, 근거에 대한 지식 되묻기), 비난(실수 공론화하기, 약점 공략하기, 취조하듯 질문하기)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① 무시 : 상대의 말 자르기, 취조하듯 질문하기 ㉠ 상대의 말 자르기 즉흥적인 끼어들기가 아닌 공식적인 발언에 대해서 상대의 말 자르기 양상은 주로 사회자에 의해서 나타났는데 이것이 토론을 진행하기 위한 기능으로서 작용하기보다 는 상대의 의견을 무시하는 의도를 가지고 사용되는 경우가 나타났는데, 그 사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98 ① 학생1: 그 가능성이 있다는 것은... ② 사회자: 끊겠습니다. 질문할 사람 있습니까?(질문자가 없는 상황에 A만 또 손을 듦). A 말씀해 주십시오. ③ 학생1: 아까 그 컴퓨터 시뮬레이션 말씀해주셨는데, 그게 엄청나게 오차가 많이 일어나 는 거지요. 왜? 예전에 화산폭발 시뮬레이션도 참패로 끝났습니다. 이런 것을 보더라도 이는 100% 안전하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여기에 대해서 어떻 게 생각합니까? ④ 사회자: 끊겠습니다. 다른 의견 있습니까? (중_A_GM0) ⑤ 학생1: 그런 동물들을 다시 되돌릴 수 없지만, 그런 동물이 아니더라도 지금 자연에 있 는 동물들은 충분히 많은데 꼭 그런 동물들을 재생시킬 필요까지 없다고 생각 합니다. ⑥ 학생2: 그런 다른 동물들은... ⑦ 사회자: 끊겠습니다. 다른 질문...K 군 (중_B_GMO) 앞서 의 ③번과 같이 학생1이 충분한 답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자 는 이를 끊고 다른 질문을 받고자 한다. 학생1은 평소에 다소 말이 많고 배경 지식이 풍부한 학생이어서 학생들 사이에 다소 잘난 척 한다는 이미지가 있는 학생이었는데, 이러한 맥락에서 보았을 때 위에서 나타난 사회자 말 자르기 행위는 다소 주관적인 감정에 영향을 받은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는 아래 자료 와 같은 상황에서 더욱 극명하게 드러나는데, 사회자가 중간에 말을 자르는 것이 자신의 판단보다는 다 른 학생들과의 관계를 고려한 행위, 혹은 분위기에 편승한 행위로 해석할 수 있다. ① 학생1: 아직 핵분열로 전기를 만든다는 그런 말은 없는데요. ② 학생2: 네. 원자력발전소가 핵분열로 전기를 만든다는 것 아닙니까? ③ 학생1: 아니... ④ 학생3: 뭐라고 하는 거야 ⑤ 학생4: 그냥 하지 마. ⑥ 아이들: 하하하 ⑦ 사회자: 그냥 자르겠습니다. (중_U_원자력에너지) 99 ㉡ 취조하듯 질문하기 취조하듯이 질문하는 양상은 특히 중학교 학생들에게 자주 나타나는 현상이었는데, 구체적인 예를 살펴보면 아래 과 같다. ① 학생1: 그런데 자원은 한정되어 있는데 언젠가 버릴 수는 없잖아요. ② 학생2: 자기 나라에서 개발하고 그 다음에 조금씩 나눠주면 됩니다. ③ 학생1: 가능할까요? 자기 나라의 자원을 무상으로 지원을 한다는 것 자체가 말이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④ 학생2: 선진국이 먼저 도와준다고 하면... ⑤ 학생1: 어떻게? ⑥ 학생2: 경제 같은 것을 먼저 발전시켜서 풍족하게 해준 다음에 천연 자원을 개발하면 후진국도 잘 살 수 있습니다. ⑦ 학생1: 그렇게 투자를 하면 후진국이 개발한다는 근거라도 있는 건가요? ⑧ 학생2: 선진국이 지원을 아예 안하는 것보다는 좋을 것 같습니다. ⑨ 학생1: 선진국보다 발전한다는 보장이 없지 않습니까? ⑩ 학생2: (격양된 목소리) 저희가 언제 선진국보다 더 발전한다고 했습니까? (중_D_교토의정서) 의 예에서 볼 수 있듯이 학생2는 학생1의 의견을 다 들어보고 그에 대해 이해한 후 개방형 질문을 하는 것이 아니라 변호사가 범인을 취조하는 것처럼 주로 폐쇄형 질문을 하고 있다. 이러한 질문의 양상은 앞서 제시한 바 있는 이나 국회 청문회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양상이다. 자신이 원하는 답을 듣기 위해 상 대를 윽박지르거나, 답을 듣지도 않고 자기 질문만 하는 그런 모습들이 알게 모르게 학생들에게도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학생2가 ⑩에서 격양된 목소 리로 반응한 것도 취조하듯 질문하는 말하기 방식 때문에 이루어진 결과이다. (중략) ① 학생1: 탈옥을 하면 또 범죄를 저지르겠다는 욕심이 아니라 한번쯤 평범하게 사는 욕 심 때문에 탈옥을 하게 되는 것이지. 그런 생각이 아니라 사회에 은신하면서 새 출발을 하기 위해서 탈옥을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 측면에서 탈옥이 그렇게 나 쁜 거라고 생각할 수 없습니다. 100 ② 학생2: 탈옥을 새롭게 살고 싶어서 나간다고 했는데. 그러면 전과범이란 단어는 왜 나 타는 겁니까? ③ 학생1: 전과자는 사회에 적응을 못해서 그렇죠. 탈옥도 그렇지만 감옥에서 평생 썩는 것보다는 아...미리 미약하게나마 새 출발을 하는 게 더 낫다고 생각하지 않을까 요? ④ 학생2: 아까 말씀을 취소하는 겁니까? ⑤ 학생1: 제가 무슨 말을 했는지. 어떤 근거로? ⑥ 학생2: 아까 전에 탈옥을 하면은 새로운 세상으로 자기가 살고 싶다고 했다는 걸 취소 하는 겁니까? ⑦ 학생1: 답변 좀 하게 해 주세요. ⑧ 학생2: 답변은 나중에 하시고요. 아까 말한 것과 앞뒤가 맞지 않아요. ⑨ 학생1: 제가 말하는 것은 사회 적응을 할 수 있다, 하고 싶다는 마음으로 탈옥을 한다 고... ⑩ 학생2: 사회 적응을 못할 수도 있는데 탈옥을 해도 범죄를 저지를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