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전문가 및 학습자가 답변 2) 내용 분석은 연구자가 연구하려고 하는 문서의 내용을 가능한 정확하게 정의하고 적절한 범주를 명확 하게 설정하는 방법(이종성, 1998)으로 일반적으로 분석 목적에 적합한 범주로 나누고, 분석 단위를 결 정하고, 이를 수량화 하는 과정을 거친다(김병성, 1996; 최윤미, 2009). 13 한 내용을 전사하여 전반적인 내용을 이해한 후 주요 핵심 용어나 내용을 바탕으로 세그먼트(segment)를 파악하여 코딩하고 이를 항목별로 분류하였다. 이를 통해 전문 가가 생각했을 때에 설득 화법 교육에서 중요한 교육의 목표는 무엇인지, 교육 내용 의 중요도는 어떠한지, 설득 화법 교육에서의 문제점 및 개선 방향은 무엇인지를 분 석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이 생각하는 설득 화법 교육에 대한 답변 역시 동일한 방법 으로 분석하였으며, 평균과 표준 편차 등의 기술통계값을 산출하였다. 이어 전문가와 학습자의 답변을 비교·분석하여 양자 간의 인식의 차이점을 밝히고 교육 내용 개발에 활용하였다. 이때 SPSS 24.0을 이용한 대응표본 t검증을 통해 평균 간 유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1) 전문가 인식 조사 전문가 인식 조사는 평점 척도를 통한 평점과 개방형 설문으로 이루어졌다. 전문가 들이 생각하는 설득 역량의 개념, 이와 관련한 교육 목표, 현재 설득 화법 교육의 문 제점에 대한 개방형 응답을 단계적으로 분류하여 요목화하였다. 이어 개방형 설문에 대해 참여자들의 응답에서 유사한 항목을 묶어 통합하여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전문가 집단은 국어교육 관련 학과에 재직 중인 교수 및 국어교육 관련 연구원으로 이루어진 행정 관여도가 높은 국어교육 내용 전문가와 초·중·고 현직 교사로 토론이 나 말하기, 화법 수업에 관심이 많고 이에 대한 경험이 많은 현장 전문가로 나누어 설문조사 및 개별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전문가가 생각하는 설득 화법 역량의 개념 및 주요 특징, 설득 화법 교육의 문제점과 보완점을 주관식 지필 설문, 인터뷰 형식으 로 조사하였고, 현행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교수학습 내용, 방법 등에 대해서는 5점 척 도로 그 중요도를 조사하였다. 교수와 연구원 대상 전문가 조사는 2016년 2월 1일∼2 월 15일, 교사 대상 조사는 2016년 7월 1일∼7월 15일 동안 동일한 설문지로 진행되 었으며 조사 대상자 관련 세부 정보는 다음과 같다. 전문가 인식 조사 대상자 관련 정보 구분 기간 참여인원 참여자 교수·연구원 2016. 2. 1.∼2. 15 11명 국어교육 전문가 11명 (교수 9명, 연구원 2명) 현장 교사 2016. 7. 1.∼7. 15 10명 현장 경력 교사 10명 (초등 3명, 중등 4명, 고등 3명) 14 전문가 집단 상세 정보 조사 대상 기호3) 직업 성별 관심분야 1 R_A 연구원 남 독서교육, 읽기 전략, 국어교육 평가, 국어교육 연구방 법론, 독서교육, 교사교육 2 P_B 교수 남 쓰기 분야(논술 교육 설득적 글쓰기, 글쓰기 과정 인 지심리학연구, 글쓰기 능력 등급화), 말하기 분야(말 하기 불안의 과학적 연구, 말하기 능력의 등급화), 융 합교육(융합프로젝트 수행이 설득적 의사소통 능력에 끼치는 영향연구) 3 P_C 교수 여 의사소통 작문, 학문적 쓰기, 자료 기반 쓰기, 정보적 텍스트 4 P_D 교수 여 독서교육, 국어과 교수학습 및 평가 5 P_E 교수 남 화법교육 6 R_F 연구원 여 교사 화법, 화법 교육, 국어교육평가, 설득 화법/설득 화법 평가 7 P_G 교수 여 말하기 교육 8 P_H 교수 남 화법교육, 대화분석, 국어과 교육과정, 수업대화 교육, 한국어교육 9 P_I 교수 여 화법교육, 국어과 교육과정, 국어과 교과서, 쓰기 교육 10 P_J 교수 여 쓰기 작문 교육, 쓰기 교수학습, 쓰기 평가, 학생 글에 대한 교사의 반응(피드백, 첨삭 등) 11 P_K 교수 여 논증이론과 국어교육, 토론과 토론교육, 초등 국어교 육, 설득 커뮤니케이션. 화법교육 12 ET_L 초등교사 여 초등 저학년 말하기 자세, 태도, 비언어적 요소에 대한 교육 13 ET_M 초등교사 여 창의적 글 읽기, 쓰기, 말하기 수업 14 ET_N 초등교사 남 프레젠테이션, 사회적 기술, 협동학습, 토의토론, 하브루타 15 MT_O 중등교사 여 화법교육(존중화법), 비언어적 의사소통, Drama & Literacy, Dramatic Discussion, CMC(사이버 의사소통) 16 MT_P 중등교사 여 쓰기 자신감, 쓰기 평가, 글쓰기와 말하기가 되는 수업 17 MT_Q 중등교사 여 비문학 독서, 화법과 작문 18 MT_R 중등교사 여 논리적 사고력을 배양하는 토론 수업 19 HT_S 고등교사 여 역량 중심 국어과 교육과정 통합 방향, 문학 교육 및 문학교육에서의 매체 활용 교육 20 HT_T 고등교사 남 독서토론, 시 수업, 문학적 글쓰기 21 HT_U 고등교사 남 실용국어, 토론, 프레젠테이션 3) 연구원은 researcher의 R, 교수는 professor의 P, 초등학교 교사는 elementary school teacher의 ET, 중 학교 교사는 middle school teacher의 MT, 고등학교 교사는 high school teacher의 HT를 기호로 표 15 조사는 개방형 문항과 5점 리커트 척도로 진행되었는데, 설득적 의사소통 역량의 개념과 그와 관련된 교육 내용의 중요도와 설득 화법 교육에 대한 쟁점을 질문하였 다. 화법 교육에서 설득에 관한 전문가의 인식, 설득의 원리가 화법 교육에 적용됨에 있어서 문제가 되는 부분, 교육의 결과로 고려되어야 할 부분이 무엇인지를 탐색하여 화법 교육의 내용 개발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2) 학습자 인식 조사 학습자들의 인식 조사는 중학교 2학년 10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전문가 설문 지와 동일한 내용으로 설문을 실시하되, 학생들이 어려워할 만한 용어나, 내용을 수정 하거나 가감하여 진행하였다. 학습자들이 설득 화법 교육의 목표, 교육 내용의 중요도 를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습자들에 대한 자가 인식 조사에 대한 개방형 답변에서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핵심 내용을 바탕으 로 내용 분석을 실시하여 이를 항목별로 분류하였다. 조사 대상 정보는 아래와 같다. 학습자 인식 조사 대상 정보 대상 자료 수집 기간 참여대상 서울 A중학교4) 2학년 2017. 7. 1.∼7. 10. 총 100명 (남 50명, 여 50명) 학습자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자면, 강북 지역에 위치한 중학교 학생들로 학 업 성취도는 중 수준이다. 연구자가 확인한 결과, 전체 학생의 70% 이상이 사교육을 받지 않았으며 80% 이상의 학생들이 국어, 논술, 토론 관련 사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 다고 답했다. 말하기 능력(토론, 프레젠테이션 등)과 같은 경우 사교육을 받은 학생과 받지 않은 학생들의 수행 능력의 난이도에 대한 차이가 존재한다는 경험적인 판단에 의해 국어나 토론, 논술 관련 사교육 여부를 중요한 표본 추출의 지표로 삼았다. 조사 는 2017년 7월 1일∼7월 20일에 이루어졌으며 남녀 각 50명씩을 대상으로 진행되었 다. 이들이 스스로의 설득적 말하기 능력을 어떻게 평가하는지, 담화 유형별로 설득 능력의 중요도는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기본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하였다. 4) 대상 중학교는 서울 강북에 위치한 공립학교로 2016년 전체 학생 수는 559명 (남: 283, 여 276)이고 국 어 학업 성취도는 1학기 73.4점, 2학기 70.1점이다. 16 인식 조사 대상 집단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문항 내용 결과(Mean±S.D) 나의 설득적 말하기 능력 3.40±.841 담화 유형별 설득 능력의 중요성 토론 3.96±.974 토의 3.68±.973 협상 3.95±1.048 발표 3.55±1.038 연설 3.63±1.031 대화 3.64±1.059 회의 3.79±.924 인식 조사 대상 집단은 평균적으로 자신의 설득적 말하기 능력을 3.4점으로 평가하 고 있었다. 또한 화법에서 다루고 있는 여러 담화 유형별 설득 능력의 중요성에 대해 서는 토론>협상>회의>토의>대화>연설>발표순으로 답하였다.
'시사교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사학에서의 연설의 구조 (0) | 2020.09.01 |
---|---|
연설 발표 등 일방향적 말하기와 토론 협상 등 쌍방향적 말하기 (0) | 2020.09.01 |
공감 기반 설득 화법 교육의 필요성과 특징 그리고 방향성 (0) | 2020.09.01 |
쌍방향 의사소통의 중요성 (0) | 2020.09.01 |
의사소통의 화행적 측면과 관계적 측면의 상생 (0) | 2020.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