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이를 바탕으로 C절에서는 공감을 기반으로 한 설득 화법 교육의 필요성과 목 적으로 밝히면서 공감 기반 설득 화법 교육의 특징으로 ‘내적 의사소통’, ‘상대 존중’, ‘관계성에 기반한 상호작용’을 제시하고 교육의 방향성을 밝혔다. Ⅲ장에서는 설득 화법 교육에 대한 전문가 및 학습자 인식 분석과 설득 화법 사례 분석을 통해 공감을 기반으로 한 설득 화법 교육의 내용 선정 근거를 마련하였다. 교 육 내용 개발에 있어서 실제성, 결합성, 확산성, 보완성을 바탕으로 공감 기반 설득 화법 교육의 내용을 선정하였다. B절에서는 공감을 기반으로 한 설득 화법 교육의 내 용 성취 기준을 마련하고 교육 내용을 설계하였다. 설득 화법 교육에 대한 요구 분석 및 학습자 설득 담화 양상, 공감과 설득 화법 이론을 바탕으로 ‘내적 의사소통을 통한 입장 확립’, ‘상대 존중을 기반으로 한 타자 지향적 태도’, ‘관계성에 기반한 감성적 상 9 호작용’과 관련된 설득 화법 교육 내용 성취 기준을 제시하였다. C절에서는 공감 기반 설득 화법 교육의 방법을 제시하였다. 교육의 방법으로 ‘메타 대화 분석’을 활용하여 ‘내면 점검’, ‘언어 점검’, ‘관계 점검’의 방식으로 설득 화법 교육의 절차와 방법을 제 시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설계한 설득 화법 교육을 학습자들에게 투입하여 그 효과와 결과를 분석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설계에 있어서 실험 대상, 실험 방식, 주제 설 정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제시하고 구체적 수업 방식, 차시별 수업 내용, 교육적 처치와 교육 자료 등을 제시하였다. 자료는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을 통해 제시되었 다. 공감을 기반으로 한 설득 화법 교육의 결과 분석은 수업 전과 후 학습자의 인식 변화, 학습자의 태도와 표현 결과에 대한 분석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학습자 인식 변화 분석은 수업 전·후 학습자들이 작성한 설문 결과를 대응표본 t검증을 활용하여 양적으로 분석하였으며, 학습자 태도와 표현 결과는 학습자들의 설득 실행 담화를 전 사하여 분석한 후 사례별로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공감을 기반으로 한 설득 화법 교육을 통해 학습자들은 내적 의사소통 을 통한 입장 정립에 있어서 주체성을 가지게 되었고, 상대 존중을 기반으로 한 타자 지향적 태도를 표현하였으며 이를 통해 감성적 상호작용을 경험하고 체득하는 모습을 보였다. 2. 연구 방법 본 연구는 공감 기반 설득 화법 교육을 모색하고자 현행 설득 화법 교육 실태를 분 석하고 구체적인 교육 내용과 교육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 방 식을 모두 고려한 혼합 연구방법을 택했다. 대표적인 혼합 연구방법으로 활용되는 삼 각화 설계(triangulation designing)를 택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으로 문헌 연구, 전문가와 학습자의 인식 조사, 학습자의 설득 담화 사례 에 대한 담화 분석, 내용 검증을 통한 설계 기반 실험 연구가 사용되었다. 전문가 인 식 조사는 국어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과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되었고, 학습자 인식 조사는 중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사례 분석은 중학교에서 실시한 자유학기제에서의 모둠 토론 담화를 대상으로 삼았다. 실험의 내 용을 검증하기 위해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공감 기반 설득 화법 교육을 적용하여 수업을 실시하고 수업 전 후의 변화 양상을 결과로 기술하였다. 10 가. 연구의 흐름 먼저 설득 화법 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전문가와 학습자의 인식 조사, 교육 과정 분석을 통해 현재 화법 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학습의 설계자이자 실행자 인 교수와 교사, 학습의 주체이자 교육의 대상인 학습자들의 인식 조사를 바탕으로 설득 화법 교육의 목표에 대한 인식, 문제점, 교육 내용의 중요도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본고에서 목적으로 하는 현대사회에 실제적으로 요구되는 설득 화법 교육 내용 을 추출하기 위해 중학교 학습자들의 설득 화법 수행 양상을 분석하였으며 전문가와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득 화법 교육 내용에 대한 중요도 평정을 실시하였다.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 내용 중요도 평정의 결과 값과, 학습자가 실제로 수행 한 설득 담화 수행 양상을 통해 추출된 교육 내용을 교육 내용의 확산 범위로 정하였 고, 교육의 본질적인 목적에 따라서 일차적으로 범주화 하였다. 이와 같은 내용을 바 탕으로 구체적인 교육 내용을 제시하였다. 전체적인 연구의 흐름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1 연구 내용 세부 내용 연구방법 문헌 연구 설득의 본질 / 공감의 본질 공감 기반 설득 화법 교육의 개념과 특징 문헌 연구 ⇩ 인식조사를 위한 설문 개발 전문가 인식조사를 위한 설문 학습자 인식 조사를 위한 설문 혼합 연구 (양적 연구+ 질적 연구) / 설계 기반 실험 연구 ⇩ 인식조사 실시 국어교육 전문가 : 21명(교수 11명, 교사 10명) 학습자 : 100명(중학교 2학년) ⇩ 담화 전사(傳寫) 및 통계 처리, 담화 분석 설득 화법 교육에 대한 인식 교육 내용 중요도 학습자가 수행한 설득적 말하기에 대한 담화 분석 ⇩ 결과 분석을 통한 교육 내용 도출 공감 기반 설득 화법 교육 내용 개발 ⇩ 교육 적용 사후 검사 개발된 교육 내용을 수업에 적용 후 효과 전과 후의 변화 양상 검증 [그림 Ⅰ-1] 연구 흐름 및 절차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설득과 공감의 본질을 살폈다. 본 연구에서 목적으로 하는 공감 기반 설득 화법의 특징과 구성 요소를 밝히기 위해 설득과 공감은 중요한 내용 적 토대로 작용한다. 따라서 설득과 공감에 대하여 지금까지 논의된 바를 살피고 그 본질을 분석하였다. 특히 설득에서의 태도 변화 요인을 살피기 위해 관련 이론을 분 석하였으며, 공감의 개념과 요소들을 도출하기 위해 심리학 및 교육학에서 기개발된 공감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검사 도구를 분석하였다. 12 이어 구체적인 공감 기반 설득 화법 교육 내용을 마련하기 위하여 질적 분석 방법과 양적 분석 방법을 함께 사용하였다. 즉, 본고에서는 질적 방법과 양적 방법을 함께 사 용하는 혼합 연구 방법을 택하여,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접근을 취하였다. 혼합방법 연구에 관해 로스와 모리슨(Ross & Morrison, 2004)은 탐구 현상을 더 풍부 하고 타당하게 이해할 수 있다는 측면을, 존슨과 옹웨부지(Johnson & Onwuegbuzie, 2004)는 현실적이며 논리적, 타당성의 측면에서 장점을 주장하였다(Richey & Klein, 2007; 정현미·김광수, 2012). 이와 같이 양적 연구방법론과 질적 연구방법론의 이점을 취해 현상을 보다 풍부하고도 타당하게 살피고자 했다. 나. 인식 조사 인식 조사는 전문가와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이들이 생각하는 설득 화 법의 개념과 설득 화법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중요도를 물었다. 이는 기존의 설득 화 법 교육에 ‘공감’이라는 새로운 목표를 고려한 것이 언중의 소통 맥락을 실제적으로 반영하기 위한 것임에 따라, 설득 화행에 대한 분석뿐 아니라 관련자들의 인식과 전 문적 식견을 포함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각각의 내용을 설문 문항 으로 구체화하는 데 있어 내용의 성격에 따라 자유 응답형과 선택형을 적절히 제시하 였으며, 다음과 같이 결과를 분석하였다. 조사 유형 문항 형식 결과 분석 방법 비고 자유 응답형 자유 응답형 문항 (개방형 코딩-추상화-범주화) 범주화 유형별 빈도 산출 주관식 문항을 비슷한 유형의 교육 내용으로 묶은 후 이를 컨셉트리(concept tree) 방식으로 범주화 함. 선택형 각 문항의 응답을 내용별 분석 빈도, 비율, 평균값 산출 신뢰도 검증 대응표본 t검증 특히 자유 응답형 문항에 대한 서술형 답변은 기술적(descriptive) 분석에 기반하여 (Tesch, 1990) 내용 분석(content analysis) 2)을 실시하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