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 청자와의 거리 좁히기 실행 점검 근거 제시에 있어 상대를 고려한 표현이 잘 드러난 학생의 말하기를 분석하면서 청 자와의 거리를 좁히기 위해 어떠한 방식들을 사용했는지 함께 이야기해 보고 그 효과 를 생각해 본다. 관련한 수업으로는 청자와 경험 공유하기, 공동체 안에서 고민해야 할 문제에 대해 공유하기, 청자의 이해 도와주기와 같은 것들을 적용할 수 있다. 145 나. 감성적 상호작용 체득 (1) 포용적 반응 체득 상대방이 답변을 잘 하기 못하거나, 실수를 했을 때 비웃거나, 지적하기보다는 기다 려주거나 실수를 감싸주면서 포용적으로 반응을 하는 상황이 있었는지, 그 때의 기분 이나 느낌이 어땠는지를 공유해 보도록 한다. 학습자들이 잘 기억하지 못할 경우 교 사는 전 시간에 했던 수업 영상에서 이러한 부분이 잘 드러나는 영상을 보여주면서 함께 이야기를 나누도록 한다. (2) 허용적 분위기 체득 무안을 주거나, 비난하는 상황이 발생할 때 교사가 적극적으로 중재하거나 수정하 도록 하면서 허용적 분위기 형성에 도움을 준다. 또한 자신감 없이 말을 하거나, 말을 천천히 하는 학생들을 배려해 주는 분위기를 형성하도록 하여, 학습자들이 허용적 분 위기를 느끼고 함께 경험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앞서 설득 화법 교육에 대한 요구 분석과 학습자의 문제점, 설득 화법에 대한 이론 을 바탕으로 공감 기반 설득 화법 교육 내용을 선정하고 이를 구체적으로 교육에 적 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공감 기반 설득 화법 교육의 내용 성취 기준으로는 내적 의사소통을 통한 입장의 확립, 상대 존중을 기반으로 한 타자 지향적 태도, 관계 성에 기반한 감성적 상호작용을 제시하였다. 이는 자아와 타자와의 관계성에 기반을 둔 교육 내용 성취기준이라고 볼 수 있다. 공감 기반 설득 화법 교육을 실행하기 위 한 방안으로 학습자들이 담화를 분석하면서 스스로의 담화 방식을 조정해 가는 대화 메타 분석의 방식을 제시하고 내면 점검, 언어 점검, 관계 점검 절차와 방식에 대해 설명하였다. 다음 Ⅳ장에서는 이를 반영한 교육 내용을 학습자에게 직접 실행한 후 공감 기반 설득 화법 교육의 실행과 효과에 대해 기술하도록 한다. 146 IV. 공감 기반 설득 화법 교육 실행과 효과 A. 자료의 수집 및 분석 1. 자료 수집 및 설계의 방법 가. 자료 수집을 위한 설계 (1) 실험 대상 서울에 위치한 S 남자 중학교 2학년 학생 24명을 대상으로 5일 동안 15차시의 공감 기반 설득 화법 교육을 실시하였다. 실험 대상 학생들은 자발적으로 선택 프로그램을 신청하였으며 평소 토론과 말하기 수업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이었다. 본 실험 대상 학교는 앞서 Ⅲ장에서 설득 화법 수업 사례 분석 대상 학교 중 한 학교와 동일 한 학교이다. 여름 방학 전 5일 동안 학생들에게 관심과 흥미를 가지고 있는 수업을 선택하여 집중적으로 들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본 실 험은 수업의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사전 조사 결과 학생들은 설득적 말하기 교육을 학교 밖에서 받은 경험이 있다는 학생은 9명으로 37.5%, 없다는 16명으로 66.7%였다. 학생들이 스스로 자신의 설득적 말하기 능력을 평가하는 부분에서는 5점 만점에 3.24점으로 보통 수준으로 평가하였 다. 학생들은 설득적 말하기와 관련하여 바라는 점으로는 직접 실습, 인성 교육과 연 계된 교육, 실제적인 토론과 토의 교육, 학생들의 의견 수용, 설득 능력, 말하기 능력 배우기, 구체적 이론 배우기와 같은 것이 있었다. 즉 학생들은 수업을 통해 실제적인 설득적 말하기 실행에 대한 높은 기대감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었다. 실험 참가 학생들의 정보는 다음과 같다. 실험 기호는 S1, S2…S24로 표기하였다. 실험 대상 학생들에게 설득 관련 수업 경 험, 자신의 설득 능력(5점 척도)에 대해 답하도록 하였다. 학습자들의 개별 설득 화법 능력을 다각적으로 보기 위하여 설득력 있게 말을 하도록 한 후 이에 대한 동료 평가 를 결과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위 표와 같다. 149 (2) 실험 방법 본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 수업을 실시하였다. 첫째, 공감을 기반으로 한 설득 화법 교육 내용과 방법을 적용한 수업을 통해 학습 자들의 설득 화법에 대한 인식과 수행 능력에 대한 변화가 있을 것이다. 둘째, 내적 의사소통을 통한 입장 확립, 상대 존중을 기반으로 한 타자 지향적 태 도, 관계성에 기반한 감성적 상호작용에 대한 설득 화법 교육 성취 기준이 교육을 통 해 달성될 것이다. 공감을 기반으로 한 설득 화법 수업을 통해 학습자들의 설득적 말하기에 대한 인식 과 이해 및 표현 능력이 향상될 것이라는 사항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 설계자자 직접 수업을 진행하면서 설득적 말하기 양상을 관찰하였다. 실험 설계자가 수업을 진행하 면서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 개개인의 특성을 면밀히 파악하고, 수업의 맥락을 보다 깊이 있게 파악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설득적 말하기 수업에 대한 동영상 을 촬영한 후 이를 전사하면서 세부 담화 내용 및 양상을 분석하였다. 또한 토론 전· 후 설문 조사를 통해 인식의 변화를 측정하도록 하였다. 수업 진행 개요 및 진행 과 정은 아래와 같다. 수업 진행 개요 구분 수업 내용 방식 실험 전 1차시∼3차시 학습자 인식 조사 실시 설문 조사 비교군 개별 설득적 말하기 실시 모둠 토론 및 대표 토론 실시 *주제 관련 읽기 *자료 제시 *동영상 촬영 *동료 평가 실험 중 1차시∼15차시 실험군 설득적 말하기 관련 강의 듣기 교사 강의 대학생 토론 베틀 담화 분석 및 논의 동영상 제시 및 관련 사항 논의 광고 분석 및 설득 전략 논의 변호사 화법 분석 및 논의 또래 학생들의 토론 분석 및 논의 설득적 말하기 개별 피드백 받기 교사의 개별 피드백 자신들의 토론 동영상 장면 관련 논의 동영상 제시 및 논의 주제 관련 수업 및 토론 진행(총3회) *개인 입론 작성 *모둠 토론 *대표 토론 실험 후 사후 조사 및 소감 나누기 설문 조사 150 다음과 같은 방식을 사용하였다. ① 수업 전·후를 비교했을 때 설득 화법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바뀌었는지에 대한 검증은 수업 전·후로 학생들이 작성한 설문지를 분석하여 검증하도록 하였다. ② 내적 의사소통을 통한 입장 확립에 있어서 근거를 어떠한 방식으로 제시하고 있는지는 입론 활동지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③ 타자 지향적 태도와 감성적 상호작용이 어떠한 방식으로 드러나고 있는지는 수업 처치 전과 처치 후의 토론 동영상을 전사한 것을 비교·분석하면서 제시하였다. (3) 설득적 말하기 주제 선정 설득적 말하기의 주제에 있어서는 개인의 도덕적 감정이 적용될 수 있는 논제, 사 회적 관계가 고려될 수 있는 논제를 선정하였다. 인간의 감정 상태는 대부분 도덕적 인 부분(선과 악, 좋은 것과 나쁜 것, 바람직한 것과 그릇된 것 등)과 연계되어 있고 이러한 감정들이 궁극적으로 인간 감정의 큰 집합체로서 사회적 관점에까지 확산될 수 있다는 터너와 스테이츠(Turner & Stets, 2006)의 논의를 전제로 하였다. 터너와 스테이츠는 도덕적 감정에 대한 논의에 있어서 ‘옳다/옳지 않다’, ‘좋다/나쁘다’, ‘수용 가능/수용 불가’의 기준을 바탕으로 도덕적 규약의 수준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그림 Ⅳ-1] 도덕적 규약의 수준(Turner & Stets, 2006: 545) 151 위 그림에서와 같이 강도에 따른 도덕적 규약의 수준을 살펴보면 가장 높은 단계는 가치와 이념에 대한 것으로 이들은 추상적이고 좋고 나쁨, 옳고 그름, 적절성과 부적 절성에 대한 개념이 특정 내용에 관계없이 사회 구성원들이 지니고 있는 것이다. 그 다음 단계는 이념으로 보다 구체적이고 내부 기관에서 도덕적 관점들이 평가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