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주인중·박동열·진미석(2010)은 지식기반 사회에서 필요한 직업기초능력을 ‘인지적 역량, 관계적 역량, 정의적 역량’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범주는 역량의 영향력의 범위와 목적에 초점을 둔 것으로 정의적 역량은 자기 자신의 내적인 측면에 초점을 둔 범주이고, 인지적 역량은 기능적으로 배 워서 응용할 수 있는 역량이고, 관계적 역량은 타인과의 소통을 목적으로 한 역량 범주 이다. 이근호 외(2012)는 핵심 역량 범주를 인성 역량, 지적 역량, 사회적 역량으로 구분 하고 그 각각의 하위 요소를 제시하였다. 교육 내용을 제시함에 있어서 이렇게 범주화 를 시도하는 것은 교육 내용의 범주화가 각각의 교육 내용이 지니고 있는 본질적인 특 징과 더불어 그 내용들이 종합하면서 확산되는 힘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앞서 살 펴본 여러 내용을 토대로 역량 범주화의 기준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역량 범주화의 기준 역량의 확산 범위 개인 내적, 타인과의 소통, 사회 역량 신장의 목적 소통 목적적, 문제 해결 목적, 문화 향유 및 창조 목적 역량이 추구하는 궁극적 목표 인지(활용 가능한 기능), 감성(바람직한 자아인식), 사회문화(사 회문화 구성원) 역량 자체의 본질 인지(문제 해결 목적, 기능과 지식 관련), 관계(관계적 측면을 중시하는 소통), 정의(내적 변화와 발전, 태도, 흥미 포함) 역량이 지향하는 가치 인성(가치 지향적), 지적(능력 지향적), 사회(공동체 지향적) 44 역량 범주화의 기준을 살펴보면 대부분이 교육의 주체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를 목적으로 하여 교육 내용을 범주화 하는 것 이 아니라, 범주화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 교육의 효과로서 학습자들의 어떤 능력 이 신장될 것인지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설득 화법 교육 내용 범주화 구조의 틀 설득 화법 교육을 제대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기존 국어과 핵심 역량을 그대로 적용 하기보다는 설득 화법 교육의 목표를 보다 잘 이룰 수 있는 능력이나 교육 내용을 선 정하여 이를 범주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앞서 살펴본 국내외의 교육 내 용 범주화 사례를 바탕으로 설득 화법 교육 내용 범주의 기준을 ‘교육 내용 확산의 범위’, ‘교육 내용이 추구하는 목적’삼아 공감을 기반으로 한 설득 화법 교육 내용을 화행적 측면과 관계적 측면으로 범주화하였다. 화행적 측면은 주로 인지적 사고를 통한 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기능적 성격을 지 닌 능력으로 문제 해결을 위한 ‘인지적 측면이 강조된 종합적 사고력’의 측면에서 그 본질을 논할 수 있다. 종합적 사고력은 창조적, 논리를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 정보를 종합하고, 추론하는 능력으로 비판적 사고력, 문제 인식 및 해결 능력, 논리 적 사고력 등을 포괄적으로 포함한다(진미석 외, 2011). 독일의 PETRA(ProjEct and Transfer oriented tRAining, 1994, 유현숙 외, 2002에서 재인용)는 종합적 사고력을 직 업기초능력의 하나로 제시하면서 문제가 되는 일과 관련된 학습 기술, 상호 연관된 사 고 과정을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설명하였다. 종합적 사고력은 상황에 따라 사고 력, 고차적 사고능력, 문제해결능력 등 다양한 이름24)으로 불린다. 본고에서는 화행적 측면에 포함된 능력들의 목적을 인지적 사고를 통한 문제 해결로 보고, 설득을 함에 있어서 정보를 활용하고 조직하여 효과적인 설득 전략을 구사하는 일련의 활동들을 포 함하고자 한다. 관계적 측면은 바람직한 자아 인식을 바탕으로 내적 변화와 발전, 상대에 대한 태 도, 감정과 관련된 것들을 포함한다.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이와 관련된 내 용은 듣기·말하기에서 정의적 영역의 ‘태도’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태도는 내용 체 계에 있어 핵심 개념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화법과 작문’에서는 본질, 원리와 실제와 동등한 위치에 자리매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정의적 특성은 여러 학자들의 견해25) 24) 미국의 SCANS(Secretary's Commission on Achieving Necessary Skills, 1991)는 핵심능력으로 사고 력(thinking skills)을 제시하면서 창의력, 의사결정력, 문제해결능력, 학습능력 등을 하위요소로 분류하 였다. 또한 이무근 외(1997)는 문제해결능력을 제시하면서 그 하위요소로 사고력, 의사결정능력, 창의 력, 성취동기 및 추진력을 들었고, 정철영 외(1998)도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영역으로 사고력, 문제인식 능력, 대안선택능력, 대안적용능력, 대안 평가능력 등을 제시하였다(유현숙 외, 2011: 323에서 재인용). 25) 정의적 특성은 가치 지향(value-orientation), 갈망(longing), 기대수준(level of expectation), 기호 45 에 따르면 가치, 태도, 자아 인식, 동기, 습관 등 화자에 초점을 맞춘 여러 능력26)들을 포함하고 있다. 본고에서 범주한 정의적의 의미는 앤더슨(Anderson, 1981; 강승호. 2001; 최윤정, 2009에서 재인용)의 정의와 유사한 개념으로 행동이나 사고가 감정이나 정서를 내포하고 있으며, 일관되고 안정된 성향인 ‘전형성’을 띤다. 또한 감정이나 정 서가 향하는 대상(감정이 향하는 목표물로서 활동 또는 아이디어 등)과의 관계성을 중시한다. 그렇기 때문에 설득 화법 교육 내용 범주화에 있어서 관계적 측면은 태도 를 포함하면서, 박인기(2000)의 관점에서와 같이 바람직한 관계를 상상하고 실천하는 요소로서의 ‘자아의 메타 정서적 능력’으로 규정할 수 있다. 이상의 기준을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다음 표와 같이 공감을 기반으로 한 설득 화법 의 교육 내용을 아래 표와 같이 재범주화 하고자 한다. 설득 화법 내용 범주화 구조의 틀 교육 내용의 대범주 해당 능력과 주요 교육 내용 요소 화행적 측면 ◈ 문제해결 능력 : 설득 전략, 대안 탐색 ◈ 정보처리 능력 : 정보의 구성과 조직, 듣기 ◈ 비판적 사고력 : (토론에서) 타당한 근거 제시와 논증 ◈ 매체 문식성 : 매체의 선택과 활용 ◈ 소통을 위한 표현 능력 : 적절한 표현 사용, 비언어 전략 관계적 측면 ◈ 내적 의사소통 능력 ◈ 상대 존중 능력 ◈ 감성적 상호작용 능력 현재 교육 과정은 앞서 설득 화법 교육 내용 실태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주로 화행 적 측면의 범주에 해당하는 교육 내용이 구체적으로 제시되고 있다. 문제해결과 관련 된 능력은 설득 전략과 대안 탐색으로, 정보처리 능력은 정보의 구성과 조직, 듣기로, 비판적 사고력은 타당한 근거 제시와 논증, 매체 문식성은 매체의 선택과 활용, 소통 (fancy), 도덕성(morality), 동기화(motivation), 불안(anxiety), 사회성(sociality), 성격(personality), 성 취동기(achievement-motivation), 신념(beliefs), 욕망수준(level of aspiration), 자기가치(self-worth), 자기조절(self-regulation), 자기존중감(self-esteem), 자기통제(self-control), 자아개념(self-concept), 자아정체감(self-identity), 자기효능감(self-efficacy), 태도(attitude), 학습동기화(learning motivation), 학습 습관(learning habits), 흥미(interest) 등이 포함되어 있다(김용래 외, 2005). 26) 앤더슨(Anderson, 1987)은 ‘태도, 가치, 선호, 학업적 자기 존중, 귀인, 불안’등 7가지를, 워던(Worthen, 1999)은 ‘태도와 흥미’를, 맥밀(Mcmillan, 1997)은 ‘태도, 가치, 동기, 학업적 자기 존중, 사회적 관계, Krathwohl, Bloom, Masia가 제시한 정의적 학습 목표 분류’ 등 6가지를 강승호 외(1999)는 ‘태도, 흥 미, 가치, 학업적 자아 개념, 귀인, 불안, 학습 동기, 인성, 행동 발달’ 9가지를 정의적 능력으로 제시하 였다(이도영, 2000b: 61에서 재인용). 46 을 위한 표현 능력은 적절한 표현 사용, 비언어 전략과 같이 화행적 측면에 해당하는 교육 내용이 제시되고 있다.

댓글